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08-08-12 13:58:45
기사수정
▲ 정기보 칼럼니스트
음용수 고갈. 이미 진행되고 있다.

태고로부터 이 세상의 모든 물질은 순환되기 때문에 존재하는 생명력이 있다.
다소 딱딱하고 고차원 적인 말이 되겠지만 삼라만상이 물질을 바탕으로 하여 기온과 시간 속에서 창조되고 생명력이 주어진 배달의 운명으로서 태초로부터 현대로 이어오는 가운데 우리는 인간의 안목으로 생활을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물은 고체. 액체. 기체로 순환하면서 지구전체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다.
모든 생명체가 물 없이는 생존할 수가 없다 지구상에 물이 없다면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는 태양계 중 화성이나 .목성 토성과 같이 불모지의 땅이나 다름없을 것이다.
어떻게 보면 지구와 가까운 화성이 한 때는 풍요한 물의 천국에서 강력한 생명력이 존재했다가 물의 고갈로 퇴화되었을 런지는 알 수 없지 만 지구상의 사막지대와 황사가 심하게 번지고 있는 사하라 사막 일대를 보면 그러한 느낌이 든다.

지금으로부터 50년 전 만하여도 우리나라의 동네 어구를 흐르는 개울물에는 일급수 물에서 소생하는 가제나 골뱅이가 있었고 해맑게 고인 물에는 물새우가 수면 위를 튀기며 놀고 피라미가 때를 지어서 흐르던 물에 언제 어느 곳에서나 어린 시절에는 물장구도 치고 손바닥만한 망 개 잎으로 물을 마시며 시원히 땀을 식히는 숲속의 나라 대한민국을 살면서도 자연은 늘 그대로 있는 것인 양 지내왔다.

농촌마을에는 이가 시리도록 찬 웃물이 있고 들판 사이를 가로 흐르는 시냇가에는 아낙네들의 빨래 방망이 소리가 산새 들새 조잘 되며 자연의 풍경과 시원한 바람을 타고 한 폭의 그림을 만든다.

어촌마을에는 파도소리에 부서지는 하얀 물보라를 타고 만선의 깃발을 나부끼며 출어하는 고깃배와 저 멀리 수평선 넘어 뭉게구름이 있는 곳으로 모~ 든 산골짜기에서 흐르든 물의 종착은 바다가 되었다.

물은 사람들을 머물게 하고 농. 어촌 고향의 따듯한 정을 가슴에 담아서 아름다운 노래가 되고 있다.

옛 날부터 물 인심이 좋은 곳을 사람 살기 좋고 인물 나는 곳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그렇게도 풍요했던 물이 60년대 후기부터 산업시설이 들어서고부터 대기와 수질오염이 시작되었고 1975년도부터 국내에 주재하는 외국인의 식수공급을 위한 생수공급이 허용되었고 가정마다 생수통 한 개 쯤을 보유하고는 가까운 샘물터나 산골짜기에서 흐르는 물을 받아서 음용수로 취급하는 집이 하나 둘씩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1988년 하계 올림픽을 무사히 치르고 나서 1989년부터는 생각지도 못했던 생수의 가정공급이 사회적 논란이 되면서 이미 수돗물이 정수기로서 정제되어야 마시는 심각한 물의 오염을 뒷받침하며 생수의 가정판매 공급을 부추겼다.

봉이 김 선달이가 대동강 물을 팔아먹는 파렴치한 말들이 현실화되면서 생수 값이 위생수라는 검증에 의해서 터무니없이 비싼 가격이지 만 요즘에는 당연한 유통 질서 속에서 자리 잡고 있다.

지구촌에서 물이 없는 세상이 될 때 까지 모든 동 식물은 존재 되겠지 마는 지금부터 50년 전만 하여도 한반도의 금수강산을 흐르든 풍요한 물이 돈을 주고 사야 되는 실정까지 오게 되었다면 앞으로 50년 후에는 지상에서 내리는 빗물은 산성비라서 못 먹고 미네랄이 풍부한 심해의 심층수가 있다 하지 만 동식물이 모두 오염으로 사라지고 없는데 인간들이 물이 있다하여도 어떻게 살아남을 수가 있을까 한번쯤은 생각해야 될 숙제가 되었다.

바닷물도 인간들이 한번 먹기를 작정하면 영원한 것이 못된다.

그래서 필자의 안목으로서 지구의 종말이 될 수도 있는 물의 고갈을 예측 한다면 요즘과 같이 공해오염을 대수롭지 않게 지내는 이대로라면 지금부터 50년쯤 후로 보고 쉽다.

지구상에서 음용수로서 마실 수 있는 물의 량은 빙산 빙하.2천4백만 톤을 제외한 지하수. 1천1백만 톤. 민물 및 호수 저수량. 일백만 톤이 전량이다.

우리나라도 UN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어있다.

년 중 강수량은 1.274mm (세계.970mm ) 이나 대다수가 바다로 배수되고 높은 인구밀도로 인하여 생활용수 일인당 이용량은 2천9백 톤/년( 세계.2만6천8백 톤/년 )으로서 물 사용량이 매우 적게 이용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전국에 조사된 저수지가 18.310개소다.

폐 저수원이 대부분이라는데 민물수질을 고도 처리하여서 미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데 관 민 학연의 관심이 집중되어야 한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worldnews.or.kr/news/view.php?idx=4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정기보 취재기자 정기보 취재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한민족 문화유산 보전회 회장
    박애단 회장
    푸른바다사랑 운동본부 회장
    해양경찰청 환경보전협의회 중앙회의원
    월드뉴스 환경스페셜 집필
    소상공 연합회 고문
    국회국정감사 NGO 모니터단 자문위원장
    서울포스트뉴스 시와 수필 산책집필
    詩 集 : 동트는 새벽. 여보 ! 당신은 힘. 編輯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