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의원(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쩍쩍 갈라진 숭례문 기둥, 외국산 목재 사용한 광화문·태화루... 문제는 재료센터 부재” - --복구된 숭례문 기둥이 5개월 만에 갈라진 이유는 덜 마른 목재를 썼기 때… - --문화재 복원 시, 알맞은 목재 국내에서 찾지 못해 외국산 목재 사용 비율 …
  • 기사등록 2018-10-17 06:07:48
기사수정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의원(울산 북구,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실은 2018년 10월 16일 화요일 보도자료를 통해,  2013년 숭례문 부실복구 논란, 외국산 목재가 15% 이상 사용된 광화문과 태화루 복원공사 등은 공통적으로 문화재수리재료센터의 부재가 그 원인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발표했다.

     이상헌 의원16일 진행된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국정감사에서, 2008년 화재 이후 5년 만에 복구된 숭례문의 기둥(목재)5개월 만에 갈라지고 뒤틀린 이유는 덜 마른 목재를 썼기 때문이며, 최근 각종 문화재 수리·복구 과정에서 외국산 목재의 사용 비율이 늘어난 이유는 적시에 알맞은 목재를 국내에서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면서, 이 두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목재 등 문화재수리재료의 건조·보관·공급시설이 꼭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 의원은 “올해는 숭례문 화재 사고가 난 지 10년째 되는 해”라며, “숭례문이 5년 만에 복구되었으나 5개월 만에 목재가 갈라지고 뒤틀리는 등 부실 복구 논란이 있었던 것은 당시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목재를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말하면서, “현재까지도 국내에선 충분히 건조된 목재를 구할 방법이 별로 없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문화재 복원·복구 시, 건조상태나 크기, 모양 등 알맞은 목재를 국내에서 찾지 못하자, 어쩔 수 없이 외국산 목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 목조건축문화재의 기둥 등에 사용하는 450cm 이상의 특대재(대경목)는 매년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1년 주기로 목재가 유통되는 민간시장에서의 국내 생산량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또한 이상헌 의원은 “국내 문화재 중 수리·복구 과정에서 외국산 목재가 사용된 비율을 보면, 2015년엔 7.8%였으나 2016년엔 13.7%로 확 늘었다”며, “특히 울산 태화루에는 외국산 목재가 16.7% 쓰였고, 서울 광화문에는 15.19%나 사용됐다”고 지적하면서, “현재는 불가피한 사정으로 문화재수리에 외국산 목재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원형유지를 기본원칙으로 하는 「문화재수리법」에 위배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이제는 충분한 건조 기간 확보를 통해 문화재 부실복원 논란을 막고, 국내 목재 사용을 담보하여 문화재의 원형 보존과 진정성을 담보해야 한다”며, 2014년 감사원 감사에서도 이와 같은 취지의 지적이 있었던 만큼, 목재 등 문화재수리재료를 건조, 보관,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간 목재시장은 주 수요가 ‘비’문화재 분야이므로 민간에서는 충분히 건조되고 품질기준을 갖춘 문화재용 목재를 공급하기가 어렵다”면서, “국가 차원에서 목재 등을 장기간 건조, 보관,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문화재수리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4% 이상이 국내산 특대재의 수급이 부족하다고 답했고, 76%가 국가기관 주도의 문화재수리용 목재의 생산 및 공급이 필요하다고 답했다”면서, “미국과 일본에는 비슷한 목재 건조시설이 2군데나 있는 만큼,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문화재수리재료 보관시설이 하루빨리 생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worldnews.or.kr/news/view.php?idx=2147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