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뉴스=박현진 기자] 황창규 회장이 취임한 2014년을 기점으로 KT 자회사 산재사고는 2배 이상 증가한 반면, 본사 KT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황 회장 취임 이후 실시한 대량 구조조정이 위험을 자회사 노동자들에게 전가한 게 아니냐는 지적과 황창규식 경영이 부른 인재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김종훈 국회의원(민중당, 울산동구)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년과 2014년 각각 34명, 37명이었던 자회사 산재사고는 황창규 회장 취임 다음 해인 2015년 73명으로 2배 증가했다. 특히 아현화재가 발생한 작년의 경우에는 105명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지적했다.
반면 KT 산재사고는 2013년과 2014년 63명과 51명에서 2015년 45명으로 작년에는 33명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황창규 회장이 2014년 취임 직후 8400명 규모의 대량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KT산재는 줄고 그 자리를 채운 자회사 산재는 오히려 늘었다.
김종훈 의원은 “단기성과에 집중한 황창규 회장이 대량 인력구조조정을 진행하면서 자회사와 외주업체들 업무강도가 가중됐고 현장위험마저 증가한 것”이라며 “이런 열악한 요인들이 아현화재로 인한 통신재난의 주요원인이 됐을 것”이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김종훈 의원은 이어 "KT는 국민들의 기본권과 관련된 필수재를 공급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공공성이 강하다. 전기통신 사업법과 나아가 헌법은 국민들에게 필수적인 기초재를 제공하는 기관의 공공성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KT는 이윤만을 추구하는 일반적인 사기업과 동일한 원칙으로 경영을 해서는 안 된다."며 "그럼에도 황창규 체제는 KT가 추구해야 하는 공공성을 무시한 채 주주의 이익만을 위한 경영을 했다."고 밝혔다.
김의원은 "KT 경영에 노동자의 이익과 일반 국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다. 오로지 비용절감, 인력 구조조정, 투자축소, 자산 매각, 위험업무의 아웃소싱만을 추구하는 현상이 나타났다."며 "KT 아현 화재는 공공적인 성격을 갖는 기업을 철저한 사기업 마인드로 운영해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며 "공공성 회복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